이미지 출처: daum영화 / 본문에 사용된 모든 이미지는 인용의 목적으로만 사용되었으며, 모든 이미지의 권리는 반짝반짝영화사(제작)에 있습니다. [배급은 시네마서비스]
최근에 개봉한 영화, 김씨 표류기! 간만에 극장 나들이를 했다. 무슨 영화를 볼까?하다가 요즘 유명한 영화 '김씨 표류기'를 봤다. 그리고 사람들의 평가도 보았다. 마음이 따뜻해지고, 행복하고, 희망이 있는 영화라는 것이 김씨 표류기의 주된 평가였다. 하지만 난 왠지 이 영화를 보면서 너무도 슬펐다. 그리고 그 슬픔은 시간이 지나면서 더 짙어졌다. '김씨 표류기'는 슬픈 영화다. 적어도 내게는 '슬픈 영화'다.
그럼 이제 김씨 표류기의 리뷰를 시작해보도록 한다.
1. 아~ 스포 정말 가득합니다. 원치 않으시면 여기서 나가셔야 합니다. ^-^;
2. 제가 원래 좀 길게 쓰는 편입니다. (그냥 가볍게 쓸 수도 있겠지만...)
인내심을 가지고 읽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100% 공감가는 이야기를 쓸 자신은 없지만,
적어도 별 내용없는 글은 가급적이면 안 보여드리려고 합니다.
1. 약육강식의 세계에서 버려져야 했던 그들...
처음에 이 영화 포스터를 볼 때 '김씨 표류기'라고 해서 나는 정재영의 '표류이야기'인 줄 알았다. 하지만 아니었다. 정재영만이 표류하는게 아니라, 정려원도 표류를 한다. 그리고 그것은 앤딩자막이 올라갈 때 완전한 확증으로 굳어졌다. 왜냐하면 앤딩자막에 '남자김씨 정재영', '여자김씨 정려원'으로 나왔기에... 이것만큼 확실하게 빼도박도 못하는 증거가 어디있는가? 결국 김씨 표류기는 밤섬에서 표류하는 정재영과, 방구석에서 표류하는 정려원의 이야기였다. 아니 두 김씨였다.
하필이면 왜 '김'씨였을까?
우리나라에서 가장 많은 성씨는 바로 '김'이다. 어쩌면 박,이,최 등을 선택한 것보다 '김'을 선택한 것은 더 적절한 제목이었는지 모른다. 쌔고 쌘 김씨라는 것이기에... 그렇게 남들과 다른 독특한 삶을 살아가고 있는 그들을 향해 부르는 말은 고작 '김씨'인 것이다. 그렇기에 자막이 더 충격이었다. 분명 영화에서는 두 김씨들의 이야기가 나온다. 정확하게 이름이 기억은 안 나지만, 남자는 주민등록증을 꺼내보일때 나오고, 여자는 자신의 이름을 소개할 때 나온다. 분명 극중에서 그 둘은 이름을 가지고 있지만, 자막에서는 '남자 김씨', '여자 김씨'인 것이다.
결국 그들은 '김씨'인 것이다. 아무리 유별난 행동을 해도 누구 하나 이름을 알아주지 않는 그냥 '김씨'인 것이다. 그리고 영화를 마치는 자막까지도 그들은 그저 '김씨'인 것이다.
영화 실미도의 마지막 즈음에 한 인상 깊은 장면이 나온다. 그것은 수류탄으로 폭발할 버스 안에서 실미도 부대원들이 피로 자신의 이름을 쓰는 것이다. (근데 여기서도 정재영이 나오는구나~) 어짜피 폭발해 버리면 이름을 기록한 것은 남지도 않는다.
하지만 그들은 그렇게라도 자신들이 '누구누구'이지, 무장강도가 아님을 말하고 싶은 것이다. 실미도에 이러한 점은 전체적인 스토리를 잘 꿰는 부분이라고 할 수 있다. 비록 범죄자들이었지만, 그들도 인간이었다. 하지만 그들은 인간이 아닌 '병기' 취급을 받았고, 그들의 마지막도 그저 폐기처분되어야 할 존재로 세상에 낙인찍히는 것이었다. 그들은 그것이 싫었다. 자신들도 인간이고 자신들도 이름을 가진 인격적인 존재라는 것을 말이다.
무게감은 다르지만, '김씨 표류기'도 그러하다. 그들은 영화 자체 내의 플롯을 뛰어넘어버리는 '자막'까지도 그들을 '김씨'로 부르는 것이다. 그들은 그렇게 철저하게 버림 받은 존재들인 것이다.
그렇다면 그들이 왜 버림 받은 이들일까?
대답은 간단하다. 그들이 약했기 때문이다. 영화 초반 정재영은 자살을 시도한다. 더 이상 밀려오는 빚 앞에서 어찌 할 수 없는 것이다. 그리고 물에 허우적 대는 장면(자살과 연결되는 부분은 아닙니다)에서는 참 연약한 그의 삶이 나타난다. 아버지도 남들이 다하는데 너는 왜 수영을 못하냐며 물에서 허우적대는 자식에게 뭐라고 할 뿐이다. 회사도 영어점수 700점 밖에 나오지 않는 무능력한 그를 채택하고 싶지도 않고, 구조조정에서 버릴 못난이 1순위는 그였다. 심지어 애인에게 조차 능력없다고 버림 받을 수 밖에 없는 것이다. 자신이 빌린 빚을 갚을 수 없고, 그저 아무것도 할 수 없다고 느껴지는 그는 약한 존재이다. 심지어 밤섬에 갇혀 바깥에 나가고 싶어 119에 구조요청을 하는 위급한 상황, 배터리가 없는 상황에서도 그는 남에게 예의를 차려야 한다. 큰 소리 한번 지르지 못하는 거다.
정려원도 그러하다. 학창시절 왕따를 당한 그녀(사실 영화에서 얼굴에 점박이를 한 이유로 보이긴 하지만, 언급대지 아니한 어떤 이유가 있는 건 아닌가?한다. 그리고 감독은 의도적으로 그 이유를 설명하지 않음으로 관객들이 각자 나름의 타당한 이유를 생각해내도록 하는 장치를 쓰는 것은 아닌가 싶다.) 결국 그녀도 세상으로부터 도망칠 뿐이다. 정려원의 상태가 정확히 어떠한 케이스인지 알지는 못하지만, 대체적으로 그녀의 정신적 약함 때문으로 보여진다.
강한자들만 살아남는 도시라는 정글 속에서 약한 자들인 그 존재감 없는, 이름도 없는 '김씨'들은 버림 받을 수 밖에 없는 것이다. 이 영화의 아이러니한 장면이 여기에 있다. 사람이 살아가는 세상은 바로 '살기 위해' 존재한다. '살아가도록 하기 위해서' 사람들은 서로 뭉친다. 그런데 이들은 그 生이 있는 곳에 있을 수 없다. 그래서 무인도로 간다. 누구의 도움도 받을 수 없는 죽을 수 밖에 없는 死의 상징인 무인도로 가는 것이다. 왜냐하면 그들은 살고 싶기에 무인도로 가는 것이다.
생이 있어야 할 현실이 사람을 죽이고, 사가 있어야 할 무인도가 사람을 살리고 있는 것이다. 그렇게 약육강식의 도시에서 그들은 도망칠 수 밖에 존재들인 것이다.